고린도전서 13:1-13
들어가는 말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현실적인 문제와 그 공동체의 분열된 상황에 대한 공정한 해법을 도출하고자 고민합니다. 그리고 13장의 사랑의 찬가를 통해서 8장 1절에서 강조했던 '사랑은 덕을 세운다'는 말씀을 상기시킵니다. 12장에서 바울은 성령의 다양한 은사는 공동체를 유익하게 하려는 하나의 목표관련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식은 결국 사랑을 위한 중요한 촉매제로 작용되며 그 기능에 대해서 강조했습니다. 이 시간 13장의 말씀을 묵상하면서 가장 위대한 사랑에 대해 함께 은혜를 나눌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사랑이 없다면(1-3절)
13장은 매우 정교하게 고안된 수사학과 세련된 양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본문은 우선 몸의 은유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더 나아가 다른 어떠한 은사로서는 가능하지 않은 것, 즉 인류를 풍요하게 할 수 없는 현실을 극복하게 해주는 단 하나의 은사는 오직 사랑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은사주의자들이 가장 위대한 은사로 평가하는 '방언'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여러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왔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주장하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이고 공동체 파괴적인 것인지를 보여줍니다. 그들이 사랑의 덕을 몸으로 실천하지 않는 한 그들의 방언 행위는 무의미한 주장이라는 것입니다. 바울은 1절에서 사랑이 없는 행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평가합니다.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1절)
사랑이 없는 행위는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처럼 우리의 공동체를 어지럽고 소란스럽고 불화와 다툼을 조장하기 쉽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랑이 없는 행위(소리)는 아무리 큰 소리가 난다고 할지라도 어떤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소리와 같고, 의미없이 공허하게 울리는 울림과 같다고 말합니다. 고린도는 '구리'가 유명한 지역인데, 여기서 소리나는 구리라는 말은 당시 야외 극장에서 소리를 울리기 위해서 사용했던 구리로 만든 병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나팔처럼 사용되어졌습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말을 하고, 황홀경에 빠진 상태에서 신비한 언어를 줄줄 꿴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가치가 없는 소음에 불과하다 말하는 것입니다. 신앙의 높은 경지에 도달했거나 기적의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거나 불가능해 보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해도 사랑이 없다면 아무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사랑이 없는 행위라면 그 안에 하나님의 역사는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과 관계없는 일이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이신 하나님을 안다고 하면서도 사랑을 행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하나님을 속이는 것이요. 아니 하나님을 소유하지 못한 자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요일 4:7-8)
바울은 모든 것을 다 소유했다고 해도 사랑이 없는 공동체라면 하나님이 원하시지 않는 것이며 하나님은 바로 공동체안에 사랑이 넘쳐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랑의 구체적이고 고귀한 행동(4-7절)
바울은 자신이 찬미하는 사랑으로 고린도교회가 갖추지 못한 신앙의 진정성을 드래내도록 촉구합니다. '오래 참음'과 '온유'의 특성을 함축한 사랑을 통해서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성도들에게 다른 성도를 향한 이해와 배려의 태도가 필요다하다고 촉구합니다. 사랑을 저버리는 것은 성도들이 피해야할 부정적인 행동입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있는 사랑없음의 태도를 시기, 자랑, 교만, 무례히 행함, 자기의 유익을 구함, 성냄, 악한 것을 생각함, 불의를 기뻐함 등으로 지적합니다. '악한 것을 생각하는' 것은 계산에 넣는다거나 남몰래 음모를 꾸민다는 의미를 함축합니다. 사랑은 악을 짊어져서 그것을 제거한다는 것입니다. 고린도교회의 분쟁상황을 보면서 그 분쟁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은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고린도교회가 복음 안에서 일치와 성숙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길은 사랑의 터전에서만 가능하다 말하는 것입니다. 고린도교회의 성도들은 그들이 온전하고 부분적이지 않다고 여겼습니다. 어린아이와 같지 않고 장성한 존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반대라 말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의 상황을 보면서 우리가 은사가 있다고 자랑하고 그것으로 서로를 멸시하고 다투는 일들이 있다고 하는데, 그런 것은 부분적인 것들이어서 언젠가는 사라진다고 말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삶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부분적인 부분들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가장 위대한 사랑
그 모습은 어린아이가 자라는 모습에 비유되는데, 어렸을 때는 자신만을 아는 이기적인 모습, 그리고 움켜쥐고 가지려고하는 모습을 가지지만 장성하면 그 때 하던 일들을 버리는 것같이 성숙한 신앙인은 자신의 작은 것을 자랑하고 그것으로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모습을 갖는 사람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모습은 마치 구리 거울 속에 희미하게 보이는 얼굴을 보이는 것 같이 희미합니다. 즉 불완전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가 오는 때, 종말의 때가 되면 그런 모든 것들은 사라지고 완전한 것만 남는다고 말합니다. 방언이라는 하나의 은사만을 고집스럽게 열광하는 성도는 영적인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수많은 다른 세계를 그냥 지나칠 수 밖에 없습니다. 방언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믿음으로 성숙해져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요란하고 열광적인 체험이 유한성과 일시성의 굴레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거나 구원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지만 가장 강력한 능력으로 드러날 사랑의 위력이야 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하고 구원의 자리로 이끈다고 바울은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울은 우리와 항상 있을 것 3가지를 말합니다. 그것은 믿음과 소망과 사랑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죽음을 통한 구원에 대한 믿음, 현재의 고통,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인내하게 하는 소망과 성도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결합시키는 사랑이라면 고린도교회의 현실문제를 극복하는 것은 물론 만민의 구원을 향한 미래의 신앙공동체로 성숙해 나갈 수 있다고 바울은 확신하고 있습니다.
나가는 말
우리는 서로 사랑하는 존재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그 안에 있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도 낙심하지 않습니다. 현재와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여러분의 삶가운데서 비록 세상사람들이 바보 처럼 여길 자라도 주님이 기뻐하시는 신앙을 소유하시고 실천하셔서 아름다운 공동체, 아름다운 가정, 아름다운 신앙인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수요기도회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은 마음으로 기도하라 (0) | 2022.03.04 |
---|---|
덕을 세우는 은사를 사모하라 (0) | 2022.02.26 |
여러 지체를 가진 한 몸 (0) | 2022.02.12 |
성찬의 목적을 회복하자 (0) | 2022.02.05 |
주의 만찬 VS 자기의 만찬 (0) | 202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