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23:9-14
들어가는 말
절기는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이 살아가는 각 거처에서 지켜집니다. 즉 일상 속에서 지켜지는 것이 절기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절기를 지키라는 명령은 이스라엘 회중 전체에게 주어진 명령입니다. 절기 준수의 장소는 성막이 아니라 이스라엘 각 거처가 규정된다는 점, 안식일이 ‘성회’로 불린다는 점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특별한 때는 이스라엘의 이스라엘의 일상과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자의 일상 속에서 공동체적으로 쉼을 누립니다. 그날을 거룩한 날로 여기며 일상 속에서 절기를 누리고 즐기는 우리의 삶의 태도 속에서 진정한 쉼과 감사가 가득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의 삶 속에서 경험하는 하나님의 은혜를 기뻐하는 우리의 삶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기를 소망합니다.
초실절-보리를 추수를 축하하는 날
오늘 본문은 초실절이라 불리는 절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초실절은 유월절-무교절 기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월절과 무교절은 이집트에서 탈출한 날을 기념하는 동시에 보리 추수를 축하하는 축제일입니다. 초실절은 무교절 첫날 절기 안식일인 1월 15일의 다음날입니다. 이날 보리의 첫 수확물을 바칩니다. 이 보리의 초실절에는 백성의 대표가 첫 번째로 익은 보리 이삭 한 단을 바치며 제사장이 그것을 들어올립니다. 레위기 2장은 이 장면을 이렇게 기록합니다. " 너는 첫 이삭의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거든 첫 이삭을 볶아 찧은 것으로 네 소제를 삼되 "(14절) 제사장이 보리를 볶아서 가루로 만든 다음 소제물로 제단에 바치는 것입니다. 이처럼 처음 것을 드린다는 것은 그것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신 것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이기에 첫 추수는 기쁨의 시간이요, 감사의 시간이요. 은혜를 기억하는 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처음 것이란 모든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처음 추수한 곡식을 요구하셨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은 약속의 땅에 들어간 후에 곡식 첫 이삭의 단을 흔들어 요제로 드렸습니다. 밀보다 보리를 한 달 먼저 추수하기 때문에 이 때의 예물은 보리였으며, 보리 한 단과 함께 흠 없는 어린 숫양을 번제와 소제, 전제로 바쳤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절기를 초실절, 맥추절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때 곡물 제사로 드리는 소제는 평상시보다 갑절로 드렸습니다. 이와 같이 곡식을 추수한 후 첫 단을 하나님 앞에 제물로 드리고 나서야 이스라엘 백성은 수확한 곡식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처음 것은 대표성을 갖기 때문에 첫 수확물을 드리는 것은 모든 것을 드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동일하게 필요합니다.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은 우리의 주인이시고 구원자이시기에 우리의 모든 것을 기꺼이 받으실 만한 권리를 갖고 계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마땅히 가장 좋은 것, 처음 것을 하나님께 감사함으로 드릴 수 있어야겠습니다. 무슨 일이든지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시작할 때 하나님께서 주시는 구원의 감격과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물질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가나안 족속은 풍요가 바알로부터 온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초실절 규례를 통해 모든 물질의 주인이 하나님 자신임을 분명히 하십니다. 첫 열매를 구별해 드림은 하나님이 물질의 주인이심을 선언하는 행위요, 이후 모든 필요를 넉넉히 채우실 것을 확신하는 행위입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억지로 마지못해서 하나님을 섬기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신 분이며, 가장 좋은 것으로 풍성하게 하시는 아버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께 무엇이든지 자원하는 마음으로 기쁨으로 드릴 수 있어야겠습니다. 나의 나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라는 사도 바울의 고백처럼 우리 모두가 하나님께로부터 엄청난 은혜를 받았음을 잊지 말고 최선을 다해 섬길 수 있어야겠습니다. 우리들 모두가 눈을 들어 하나님만을 바라보며, 예배의 사람, 나눔의 사람, 섬김의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어야겠습니다.
나가는 말
첫 열매를 드린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는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과 도우심의 은혜를 기억하기에 하나님께 첫열매를 거두게 하신 은혜를 기억하며 기쁨과 감사의 축제를 드릴 수 있는 것입니다. 처음 것이란 모든 것을 드리는 마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받은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것을 감사하며 우리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소유임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비롯된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첫 단을 드리는 절기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주인 되심을 고백하며, 그분은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이어야 할 것입니다. 그들이 드린 첫 이삭 한 단에는 이와 같은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십니까?
'오후찬양예배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팔부는 명절 (0) | 2025.03.08 |
---|---|
두 번째 거둔 곡식 (0) | 2025.03.02 |
삶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0) | 2025.02.09 |
기쁘게 받으시는 제물 (0) | 2025.02.02 |
성물을 먹는 태도 (0) | 2025.01.26 |